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287

『적정기술』제32호 (한밭대 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, 2025) 『적정기술』제32호 (제17권 2호)(한밭대 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, 2025) --------------- 심리적 웰빙을 위한, 언어가 아닌 인간 중심 기술의 필요성 - 김명성 (UNIST 의과학대학원 박사과정) 첨단과 적정의 경계에서 Industry 5.0 시대의 적정기술 재조명- 김신혁 (국립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)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(SDGs) 달성에 신기술 적용- 홍성욱 (국립한밭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) 나고야의정서 시대, 한국형 적정기술 기반 글로벌 생물자원 전략- 구교영 (㈜이암허브 대표이사) 전환의 순간: 미국 후퇴 시대, 한국의 개발 리더십을 위한 전략- 하재웅(레버리 연구소 소장), 유성산(레버리 연구소 연구원) 2025. 11. 13.
『적정기술』제31호 (한밭대 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, 2025) 『적정기술』제31호 (제17권 1호)(한밭대 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, 2025) --------------- 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통한 개발협력의 새로운 패러다임- 고인효 (MYSC(엠와이소셜컴퍼니))  국립한밭대학교의 사회적 가치 창출을 위한 지역사회공헌 전략과 성과사례- 이종원 (국립한밭대학교 LINC3.0사업단 사업부장)  적정기술과 나에게 적용된 눈높이 교육- 장혁주 (디스크리트 레이블)  덴마크 ‘The Synthetic Party’ 사례를 통해 본 AI 정당의 가능성- 하재웅 (㈜언더핀 이사)  유엔의 지속가능발전목표(SDGs)와 메타버스- 홍성욱 (국립한밭대학교 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) 2025. 3. 14.
『적정기술』제30호 (한밭대 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, 2024) 『적정기술』제30호 (제16권 2호)(한밭대 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, 2024) --------------- 적정기술로 피어나는 스마트포용도시 성동구- 정윤희 (서울특별시 성동구청 스마트도시과)  개발도상국 적정기술 적용 사례 (3): 캄보디아 DO | DO 업사이클 센터- 조현민 (캄보디아 DO)  D.E.I : 다양성과 포용을 향한 혁신적인 길- 장은희 (MYSC)  실천적 생태전환교육을 위한 생태전환교육 실천지원단과 환경교육 발전추진단- 유선주 (대전노은초등학교 교사)  대전대학교의 적정기술 선도 글로벌 협력- 안경환 (대전대학교) 2024. 7. 3.
『적정기술』제29호 (한밭대 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, 2024) 『적정기술』 제29호 (제16권 1호) (한밭대 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, 2024) --------------- 의 20년 - 홍성욱 (글로컬적정기술연구소장) Appropriate Technology, Traditional Cultures and Degrowth - Alex Jensen (Local Futures) 메타버스 인재양성을 위한 융합교육 사례: 국립한밭대학교 메타버스 융합디자인 다중전공을 중심으로 - 김지현(국립한밭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교수), 장광석(클럽클러스터 대표) 지구를 지키는 혁신: 생물다양성과 기술 - 장은희 (MYSC) 독일 과학교육 현황과 시사점: 2022학년도 노벨과학상 수상국 교수법 연수를 중심으로 - 염주연 (대전광역시교육청 과학직업정보과 장학관) 인공지능 시대 미래인재의 역량.. 2024. 1. 7.